"좋은 콘텐츠만 있으면 구독자가 저절로 생길까요?"

이 질문은 크리에이터라면 누구나 고민해봤을 주제일 겁니다. 사실 콘텐츠의 성공에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특히 플랫폼이 제공하는 기회는 크리에이터의 성장을 결정짓는 중요한 열쇠가 되어 왔습니다.

페이스북은 페이지 팔로워 기반으로 콘텐츠가 확산되는 환경을 제공하며 수많은 중소 크리에이터들이 대중에게 노출될 기회를 얻었습니다. 유튜브는 크리에이터가 만든 영상에 광고를 붙이고 그 수익을 공유하는 애드센스 모델로 크리에이터 경제의 초석을 다졌죠. 인스타그램은 누구나 일정한 팔로워만 있으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시대를 열었고, 최근 틱톡은 짧고 빠른 콘텐츠 소비 방식을 통해 많은 신예 크리에이터들에게 엄청난 성장 속도를 선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플랫폼을 통한 성장과 수익화가 모두 장밋빛은 아닙니다. 크리에이터들이 콘텐츠로 직접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만드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현실이죠. 이 틈새를 메꿔준 것이 바로 '브랜디드 콘텐츠'입니다. 브랜드와 협력하여 콘텐츠 속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녹여내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든 것입니다.

브랜디드 콘텐츠의 양면성

그런데 이 브랜디드 콘텐츠가 늘 긍정적이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브랜디드 콘텐츠도 기업의 예산으로 비롯 되기 때문에 불경기나 요즘같은 시기에는 비용의 절감과 리스크 차원에서도 대폭 줄어들기도 합니다.

또한 잘못하면 '뒷광고' 논란과 같은 부정적 이슈로 오히려 크리에이터의 이미지에 해를 입힐 수 있는 양날의 검이기도 하죠. 하지만 제대로 만들어진 브랜디드 콘텐츠는 브랜드, 독자, 플랫폼, 크리에이터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수익모델이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독자와 크리에이터의 관계 변화

앞으로 크리에이터와 플랫폼이 함께 고민해야 할 부분은 바로 여기서 출발합니다. 브랜디드 콘텐츠가 현재처럼 '광고'라는 꼬리표에 갇히지 않으려면, 독자와 크리에이터 간의 관계가 팬과 크리에이터를 넘어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로 진화해야 합니다. 단순히 조회수나 팔로우 수만을 목표로 삼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서로의 성장을 지지하고 목표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관계를 재정의하는 것입니다.

💡
말은 쉽지만 정말 쉽지 않은 과정입니다.

또한 플랫폼 자체가 기존의 광고 수익 모델을 벗어나 더 다양한 수익 모델을 마련해야 합니다. 경기 침체로 인해 전통적인 광고 수요가 줄어들면서 최근 커머스 연계형 콘텐츠가 급증하는 것도 이런 흐름의 하나죠. 유튜브를 포함한 여러 플랫폼이 커머스 서비스를 강화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콘텐츠 수익 구조

저 또한 콘텐츠 크리에이터이자 미디어 운영자로서 광고와 브랜디드 콘텐츠를 통한 수익 창출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터들과 협업하거나 공동구매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수익모델을 다양화하고 있죠. 결국 콘텐츠는 계속해서 새로운 시도를 통해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를 만들어가야 합니다.